알뜰살뜰 경제

[이재명 대통령의 25만 원 지역화폐 지원금] 지역화폐로 준다? 재난지원금 효과와 의미 정리!

양이의 하루 2025. 6. 9. 20:41
반응형

📢 “25만 원 준다는데… 지역화폐로?”

2025년 6월, 정치권에서 다시 뜨거운 이슈가 등장했습니다. 바로 전 국민에게 25만 원씩 지급하는 민생지원금입니다.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, 이 돈을 ‘현금’이 아니라 ‘지역화폐’로 지급하겠다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.

“그게 뭐가 달라?”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, 단지 지급 방식의 차이가 아닌, 정책 철학과 효과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핵심 포인트입니다.


💡 지역화폐란 무엇인가요?

지역화폐는 말 그대로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화폐입니다.
예를 들어 서울 강서구에서 발행된 지역화폐는 강서구 내 전통시장, 소규모 매장, 동네 식당 등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 대형마트, 프랜차이즈, 온라인몰에선 사용할 수 없어요.

이처럼 사용처를 제한함으로써, 소비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걸 막고, 지역 내 자영업자와 상권을 살리는 구조를 만들어주는 게 지역화폐의 핵심 목적입니다.

게다가 대부분의 지역화폐는 10% 내외의 할인율이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 9만 원으로 10만 원짜리 지역화폐를 구매할 수 있으니, 소비자 입장에서도 이득이죠.

 


💰 25만 원 민생지원금, 왜 ‘지역화폐’로 주려는 걸까?

이번에 논의되는 민생지원금은 모든 국민에게 1인당 25만 원, 여기에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은 추가로 1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.

그런데 이 돈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면, 받은 사람이 반드시 지역 내에서, 일정 기간 안에 소비해야 합니다. 즉, 이 돈은 ‘돌고 돌며’ 지역상권을 살리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됩니다.

현금이라면 저축하거나 카드값을 갚는 데 쓸 수도 있고, 아예 타지역에서 소비되기도 하겠죠. 하지만 지역화폐는 반드시 '지역에 뿌리내리는 돈'이 됩니다.


📊 실제 효과가 있나요?

실제 사례를 보겠습니다. 대전시 대덕구의 지역화폐 ‘대덕e로움’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보였습니다.

  • 매장당 일일 매출 평균 72,000원 증가
  • 사용자 65%가 지역화폐 사용으로 소비 증가
  • 사용자 25%는 “지역경제에 기여하고 싶어서 썼다”고 응답

이처럼 소비 진작, 매출 회복, 시민 만족감까지 3박자를 고루 갖춘 정책으로 평가됩니다.


🧩 반대 의견은 없을까?

물론 모든 정책에 장단점이 있듯, 이번 정책도 다음과 같은 우려가 존재합니다.

  • 지자체 간 재정 격차: 지방의 경우 지역화폐 발행 여건이 불리할 수 있음
  • 일회성 효과의 한계: 지급 후 일시적인 소비 증가에 그칠 가능성
  • 재정 부담: 약 20조 원의 재원이 필요하며, 중앙정부와 지자체 분담 방식을 놓고 논의 중

하지만 이런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면, 지역화폐는 단기 소비 진작을 넘어서,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구조적 해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.


🧭 '지급'이 아니라 '흐름'이 중요하다

25만 원이 우리 통장에 찍히는 것도 중요하지만, 그 돈이 어디로 가고, 누구에게 이익을 주는지가 더 중요합니다.
지역화폐로 지급한다는 건 단순한 퍼주기가 아닌, 정책 설계의 디테일을 담은 결정입니다.

그 돈이 우리 동네 슈퍼, 미용실, 분식집으로 흘러가고,
소상공인의 삶에 숨을 불어넣을 수 있다면,
이번 지원금은 진정한 의미에서 ‘민생 지원금’이라 불릴 수 있을 겁니다.

 

반응형